전체 글5 [DA STUDY #5] 정규화란 - 정규화 vs 비정규화 :: 데이터아키텍처 DAP, DAsP 자격증 스터디 정규화와 비정규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관리할 때 상반된 방식으로 데이터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정규화는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 무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비정규화는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일부 중복을 허용하면서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방법이다. 이 두 방식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사용되어야 하며, 데이터의 복잡성과 요구 성능에 따라 선택된다.정규화(Normalization)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재조정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제1정규형(1NF)부터 제5정규형(5NF)까지 여러 단계로 진행되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데이터 중복이 줄어들고 구조가 정교해진다.사용 시점정규화는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이 중요한 .. 2024. 11. 13. [DA STUDY #4] 정규화 - 정규형의 종류 :: 데이터아키텍처 DAP, DAsP 자격증 스터디 1. 정규화란?데이터베이스 정규화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를 테이블로 분할하고 테이블 간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관리 효율성을 높인다. 정규화 과정은 1차 정규형(1NF)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개선해 나간다. 2. 제1정규형 (1NF)제1정규형은 모든 테이블이 단일 값만을 가지도록 보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제1정규형을 만족하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각 속성은 원자적 값을 가져야 한다. 즉, 각 셀에는 하나의 값만 포함되어야 한다.중복된 행이 없어야 하며, 각 행은 고유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본 키를 설정하여 이를 보장한다.예를 들어, ‘학생’ 테이블에 여러.. 2024. 11. 12. [DA STUDY #3] 정규화 - 폐포 :: 데이터아키텍처 DAP 자격증 스터디 데이터베이스에서 폐포(Closure) 개념에 대한 상세 설명 데이터베이스 이론에서 폐포(Closure)라는 개념은 주로 함수적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과 관련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폐포는 특정 속성 집합을 사용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모든 속성의 집합을 의미하며, 주어진 함수적 종속성을 만족하는 속성들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속성 간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높이며, 불필요한 중복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1. 폐포의 정의와 개념폐포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속성 또는 속성 집합이 가진 모든 잠재적 종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주어진 함수적 종속성.. 2024. 11. 11. [DA STUDY #2] 정규화 - 아노말리 :: 데이터아키텍처 DAP 자격증 스터디 1. 아노말리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아노말리(anomaly)는 데이터 삽입, 삭제 또는 갱신 시 의도하지 않은 결과나 불일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의미합니다. 아노말리는 주로 데이터베이스가 적절히 정규화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며,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integrity)과 일관성(consistency)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노말리를 이해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와 설계자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2. 아노말리의 유형삽입 아노말리(Insertion Anomaly) * 예시: 학생_과목(StudentCourses)이라는 테이블에 학생ID(StudentID), 학생이름(StudentName), 과목ID(CourseID), 과목이름(CourseName) 필드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새로운 과목이 개설되.. 2024. 11. 10. [DAP자격증]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자격검정 과목, 일정, 합격기준, 수수료 알아보기 1. 데이터 아키텍처와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에 대한 정의 - 데이터아키텍터(DA) : 기업의 모든 업무를 데이터 측면에서 체계화하는 것이다. DA는 실제 데이터 표준화, 모델링, 품질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기업의 DB에서 엔터티와 속성의 명칭을 표준화를 하며, 엔터티 간의 관계 등을 그려서(ERD로 표현) 업무를 데이터 관점에서 해석이 용이하게 하며 일관성 있게 구축한다. 또한 수집되는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시켜, 업의 선순환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전사의 기준을 따라 직무를 수행한다. - 데이터아카텍쳐 전문가(DAP, Data Architectue Professional) : 효과적인 데이터 아키테터 구축을 위해 전사 아키텍처와 데이터 품질 관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 2024. 11. 1. 이전 1 다음